본문 바로가기
사회

서울 왔다가 다시 짐 싸는 청년들…2030세대 탈서울 분석

by drlim 2025. 6. 30.

“서울에 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닙니다”

대학, 취업, 더 나은 삶을 꿈꾸며 서울로 올라온 청년들. 하지만 몇 년 뒤, 다시 짐을 싸서 서울을 떠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구조적인 현상입니다. 과연 청년들은 왜 서울을 떠나는 걸까요? 서울 청년 인구 통계부터, 탈서울의 주된 원인, 정책적 시사점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청년 인구, 서울서 줄고 있다

  • 서울 거주 청년(만 19~39세) 인구는
    → 2016년 318만 명 → 2023년 286만 명
    7년 사이 약 32만 명 감소
  • 2023년 기준, 서울 청년 이동 추이
    • 유입: 26만 2천 명
    • 유출: 23만 5천 명
    • 순유입: 2만 7천 명에 불과

👉 특히 20대는 유입이 많지만, 30대는 오히려 빠져나가는 구조가 뚜렷합니다.

 

 

“청년 전월세 걱정 끝! 매입임대주택 신청 조건 완벽정리”

청년 매입임대주택(이하 “청매입임대”) 신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및 지자체(SH 등)에서 운영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만 19세부터 만 39세 이하인 무주택자 청년 또는 대학생·취업준비생(고

lnewsbox.tistory.com

 

 

“직장인이 뽑은 새 정부 최우선 과제 1위는? ‘비정규직 문제 해결’”

직장갑질119 직장인 1000명 대상 설문청년 일자리 부족, 저임금 문제도 지적“왜 아직도 비정규직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까?”직장인 1,000명이 직접 꼽은 **‘새 정부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노동

lnewsbox.tistory.com

 

🧭 청년들이 서울을 떠나는 3가지 이유

 

① 주택 문제 (가장 큰 요인)

  • 집값과 전월세 부담으로 자립이 어려움
  • 결혼·출산 고려할수록 서울에서 살기 힘들다는 인식 확대
  • 실제로 청년 인구 이동 사유 중 ‘주택’이 34.5%로 1위

② 직업과 커리어

  • 청년들은 지방 근무 발령, 비수도권 취업 등으로 서울을 벗어남
  • 특히 30대 초반~중반의 커리어 전환기에 탈서울 가속화

③ 가족 요인

  • 부모님이 지방에 있거나, 자녀 양육 지원을 위해 가족 중심 생활권으로 이동

 

🏠 주거 현실이 만든 '탈서울' 구조

  • 서울 청년가구 중 1인 가구 비율 64.5% (2022년 기준)
  • 평균 주거면적: 점점 더 작아져
    50㎡ 미만 초소형 주택이 44.2%
  • 주택 형태 변화
    → 아파트·단독 ↓, 오피스텔·다세대 ↑

“서울은 더 이상 삶의 질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 시사점: 청년이 떠나는 서울, 이대로 괜찮을까?

구분 내용
✅ 20대 대학·취업 등 기회의 도시로 인식
❌ 30대 주거·가족 중심의 삶에서 한계 봉착
📌 필요 정책 청년용 공공임대, 커리어·주거 복합 지원, 지방 균형 발전 전략
 

서울에 남고 싶은 의지는 여전하지만, ‘살 수 없는 환경’이 청년들을 밀어내고 있는 셈입니다.

 

📺 영상으로 보기

👉 SBS 뉴스 - “청년들이 서울 떠나는 이유는?”

 

✅ 마무리 한줄 요약

청년들은 서울을 '포기'한 것이 아니라, 현실 앞에서 '선택'한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