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100만원으로 물류회사 설립?…중국인만 '떼돈' 벌고 한국은 당했다

by drlim 2025. 6. 25.

물류도 '차이나 공습'…외국계 43곳 중 33곳 차지

C커머스 업체 직접 진출 급증
택갈이 등 시장 교란행위 빈번

요즘 물류업계에 충격적인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100만 원만 투자하면 한국에서 국제물류회사를 만들 수 있다?
바로 이 제도의 허점을 교묘히 이용한 중국계 기업들의 **‘저자본 알짜 장사’**가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중국인은 신나고, 한국 중소기업은 줄줄이 폐업
이 불공정한 현실, 지금 바로 알아보세요.

 

 

📰 중국계 ‘100만 원 법인’으로 떼돈 벌다

2020년 이후, 한국에 등록된 외국계 국제물류업체 가운데 대부분이 중국계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서울에서만 41개 중 23개, 전국 기준으로도 43개 중 33개가 중국계 법인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들 중 다수는 **정상적인 자본금(3억 원)**을 갖추지 않고, 위조 서류와 브로커를 통해 단 100만 원대 투자로 회사 등록을 마쳤다고 합니다.

 

📦 국내 기업은 줄줄이 폐업

이런 구조 속에서 피해를 입는 건 누구일까요?
바로 국내 중소 물류기업들입니다.

인천에서 20년간 운영하던 한 업체는 중국계 물류사에 밀려 폐업했고, 해당 중국계 A사는 지금도 물류센터를 확장하며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물류망을 장악 중입니다.

 

 

드론전쟁 시대, 중국산 없인 못 뜨는 K-드론의 현실

전 세계가 ‘드론 전쟁’ 시대에 돌입했습니다.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무력 분쟁, 심지어 국경 정찰과 농업 방제까지… 드론은 이제 단순한 촬영기계를 넘어 ‘전략 자산’이 됐습니다.하지만

lnewsbox.tistory.com

 

🧨 문제는 '제도 허점'

문제의 핵심은 바로 등록 기준 미비와 사후관리 부재입니다.


항목 현재 문제
자본금 요건 서류상 3억 → 실상은 100만 원
등록 방식 위조서류, 브로커 통한 허위 등록
감독 체계 현장조사 및 사후관리 부족
경쟁 상황 가격 덤핑·위법 행위로 국내업체 고사
 

 

⚠ 덤핑‧짝퉁‧태그갈이까지…질 낮은 물류 서비스

중국계 업체들이 한국 쇼핑몰·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짝퉁, 태그갈이, 세관 우회 등의 불법 행위까지 벌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그 결과, 국내 소비자들은 품질 낮은 서비스에 피해를 입고 있고, 한국의 물류 인프라는 점점 중국 자본에 종속되고 있습니다.

 

🔧 해결책은 없을까?

업계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

  1. 자본금 요건 실사 강화
    위조서류 판별 시스템 도입 및 등록 기준 상향 조정
  2. 정기 감사 및 불시 조사 도입
    불법 운영 업체는 즉시 퇴출
  3. 중국과 상호주의 적용
    한국 업체가 중국 진출 시 받는 규제와 동일 기준 적용
  4. 국내업체 지원 강화
    물류센터 구축, 기술지원, 세제 혜택 등 맞춤형 지원 필요

 

✅ 마무리: 시장은 공정해야 성장합니다

누군가는 "자유경쟁 시장이니까 어쩔 수 없다"고 말할지 모릅니다.
하지만 불법과 편법이 난무하는 시장은 자유도 공정도 아닙니다.

한국의 물류주권을 지키고,
국내 중소기업을 보호하며,
소비자의 권익을 지키는 것이야말로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