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금

출산휴가 급여 최대 600만원? 근로자라면 꼭 알아야 할 지원제도

by drlim 2025. 6. 17.
반응형

출산을 앞둔 예비 부모들에게 가장 큰 관심사는 ‘출산휴가’와 ‘출산급여’입니다.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이지만 정확한 신청 시기와 대상, 그리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죠.
이 글에서는 출산전후휴가 제도, 출산휴가 급여, 신청 방법, 대상자 조건까지 하나씩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출산전후휴가란?

출산하는 여성 근로자가 출산 전과 출산 후에 사용하는 유급 휴가입니다.
✔️ 법적 근거: 근로기준법 제74조
✔️ 총 90일 (다태아는 120일)

  • 출산 전후로 자유롭게 분할 사용 가능
  • 출산 후 최소 45일은 반드시 사용해야 함

 

💰 출산전후휴가 급여는 얼마?

✅ 기본 급여 구성

  • 1~60일: 고용주가 지급 (통상임금 기준)
  • 61~90일: 고용보험에서 지급
    ※ 단, 중소기업은 전기간을 고용보험에서 전액 지원

✅ 급여 지급 기준

  • 고용보험 가입 180일 이상 근로자
  • 월 통상임금 기준 최대 월 200만원 한도
  • 최장 90일간 총 600만원까지 수령 가능

 

📝 신청 방법은?

▶️ 회사에 먼저 신청

  1. 출산예정일 기준으로 출산휴가 신청서 제출
  2. 회사 승인 후 휴가 사용

▶️ 고용센터 또는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출산급여 신청

  • 고용보험 홈페이지
  • 필요 서류:
    • 출산휴가확인서
    • 통장 사본
    • 출산 사실 증명서류 (출생증명서 등)
  • 출산 후 1년 이내에 신청 가능

 

👩‍⚕️ 출산전후휴가 대상자는?


대상 조건
상시 근로자 고용보험 가입자이면서 180일 이상 근무
비정규직, 계약직, 일용직 위 조건만 충족되면 동일하게 적용 가능
중소기업 근무자 정부가 전액 지원하는 경우 많음
 

📌 꼭 알아둘 점

  • 출산휴가 중 해고·불이익 금지 (근로기준법 제23조 위반 시 형사처벌)
  • 출산휴가 중 국민연금, 건강보험은 계속 납부
  • 육아휴직과 연속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