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책만 읽는 시대 끝! 영상·코딩·공부까지 되는 ‘디지털도서관’이 뜬다”

by drlim 2025. 6. 29.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희망일로부터 최대 7일 전 좌석이나 공간 예약
스튜디오, 세미나실, 디지털 열람석, 미디어 편집석 등 목적별로 최적화된 좌석 다양해

"도서관은 책만 읽는 곳?"
이제는 옛말입니다.
영상 촬영, 3D 프린팅, 코딩 학습, 그리고 전용 스터디룸까지!
첨단 시설로 무장한 **‘디지털도서관’**이 전국 곳곳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금 도서관은 지식 창작과 공유의 ‘미래 플랫폼’으로 진화 중입니다.

 

 

🧠 디지털도서관, 뭐가 다를까?

전통적인 책 중심 도서관을 넘어,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생산과 학습 공간으로 탈바꿈한 곳.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상 촬영실: 유튜브·브이로그 제작 가능한 크로마키 룸, 마이크·조명 완비
  • 오디오 녹음실: 팟캐스트·나레이션 제작 가능
  • 3D 프린터 & 메이커스페이스: 시제품 제작·창작 활동 가능
  • 스터디룸 & 강의실: 시험 준비, 온라인 수업에 최적화
  • 디지털자료실: 고화질 모니터와 전문 소프트웨어로 콘텐츠 편집 가능

 

 

🎬 MZ세대와 창작자들이 열광하는 이유

  1. 무료 또는 저렴한 이용료
    영상·음향 장비 대여가 가능한 데다, 교육 프로그램도 대부분 무료!
  2. 시설 예약 간편화
    웹·앱 통해 실시간 예약 가능해 편리성 높음
  3. 창작 중심 커뮤니티 형성
    유튜버, 디자이너, 개발자 지망생 등 다양한 창작자들이 네트워킹

 

🗺️ 어디서 이용할 수 있나?

  • 서울도서관 디지털창작실
  •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관
  • 부산시민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 수원시 디지털미디어센터
  • 지자체 청년센터 내 디지털랩

이외에도 전국 공공도서관 100여 곳이 디지털 창작 공간을 운영 중입니다.
각 지자체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미래형 도서관의 진화는 계속된다

정부는 디지털 인재 양성지역 창작 인프라 확산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전환을 꾸준히 확대 중입니다.
책을 넘어,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으로서 도서관의 역할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