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의학

“수조 원 시장 흔든다”‥키트루다·엘리퀴스 특허 만료, 제약산업 ‘지각변동’ 시작됐다

by drlim 2025. 7. 11.
반응형

2028년 특허 줄줄이 만료…바이오시밀러·제네릭 진입 속도전
"대형 원개발사는 공격적으로 분쟁 일으켜…대응력 강화 필요"

2028년 이후, 글로벌 제약 시장에 전례 없는 변화가 시작됩니다. 연 매출 수조 원을 자랑하는 '블록버스터 신약'들의 특허 만료가 줄줄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기업들에게는 기회가, 글로벌 빅파마에게는 위기가 다가오고 있는 지금, 제약업계를 흔드는 '특허 전쟁'의 실체와 향후 전망을 정리해봅니다.

 

 

🔹 블록버스터 신약, 특허 만료 ‘도미노’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의약품 중 상당수가 오는 2028년을 기점으로 특허 만료에 돌입합니다. 대표적으로는:

  • 키트루다 (머크): 면역항암제, 2024년 매출 약 43조 원
  • 엘리퀴스 (BMS): 항응고제, 연 매출 약 18조 원
  • 릭시아나, 아일리아, 다잘렉스, 오크레부스 등 다수 포함

모건스탠리는 “2030년까지 주요 제약사 매출의 38% 이상이 특허 만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하며, 이는 곧 수조 원 규모의 시장이 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 제약 시장의 '특허 전쟁' 본격화

특허가 만료되면 바이오시밀러(복제약) 또는 제네릭 의약품 출시가 가능해집니다. 이 시점을 노리고 국내외 기업들이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 셀트리온: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CT-P51' 임상 3상 착수
  • 삼성바이오에피스: 'SB27' 임상 진행 중
  • 국내 제네릭 공급 확대: 엘리퀴스 특허 종료 후 ‘리퀴시아’ 등 제품 출시

반면, 오리지널 개발사들은 수십~수백 건의 특허 장벽법적 소송으로 시장 방어에 나서고 있으며, 애브비의 ‘휴미라’ 사례처럼 복제약 출시를 최대한 지연시키려는 전략도 병행되고 있습니다.

 

🔹 한국 기업에게는 기회이자 시험대

이번 특허 만료 러시는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에게는 글로벌 시장 진출의 황금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지식재산권(IP)**에 대한 이해와 글로벌 임상 경쟁력이 필수 요건이 되고 있습니다.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는 “빅파마들이 한국 기업을 겨냥한 특허 소송을 자주 제기한다”며 IN-NAVI 같은 IP 대응 체계 강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결론

다가오는 블록버스터 신약의 특허 만료는 단순한 시장 변화가 아닙니다. 이는 글로벌 제약산업 판도를 바꾸는 **'기회의 창이자 생존의 시험대'**입니다. 국내 제약 기업들은 지금 이 기회를 발판 삼아, IP 전략과 임상 데이터 경쟁력을 갖춘다면 세계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는 결정적 전환점을 맞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